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.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는 분은 1인당 평균 135만 원을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 다만, 3년이 지나면 소멸하기 때문에 빨리 환급금 조회부터 해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.
글의 순서
국민건강보험 환급금 확인
보험료를 동일 건으로 두 번 납부하거나 기준보다 과하게 의료비가 책정된 경우 과오납금에 따라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 발생하게 됩니다. 추가로 “본인부담상한제”로 인해 지정된 본인 부담상한액을 초과했을 때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은 반드시 신청해야만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으로, 신청하지 않을 시 3년 후 환급금은 사라지게 되어 수령할 수 없게 됩니다. 환급받는 방법은 아래 방법을 따라 하시면 어렵지 않으며, 환급 신청 후 약 7일 이내로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
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신청 방법
1.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접속
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을 위해 국민건강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.
2. 로그인
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상단 “로그인”을 선택하세요.
3. 인증서 로그인
인증서 로그인 방법은 간편인증(카카오톡 외 7종) 방법과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및 금융인증서 방법이 있습니다. 본인이 편한 방법을 통해서 로그인하세요.
4. 환급금 조회
로그인 후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“환급금 조회/신청”을 선택하세요.
5. 환급금 신청
기재된 환급금 종류를 확인하시고 “전체 선택” 후 “신청하기”를 클릭하시면 환급금 신청이 완료됩니다.
지급일
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지급일은 환급금 신청 접수 후 약 7일 후 본인 계좌로 송금 받으실 수 있습니다.
환급금 신청 홈페이지 바로가기
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외에도 인터넷으로 환급금을 신청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있습니다.
이를 통해 지금까지 받지 못했던 환급금을 찾아보세요.
홈페이지 | 이동 |
국민연금공단 | 바로가기 |
정부24 | 바로가기 |
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| 바로가기 |
금융감독원 파인 | 바로가기 |
근로복지공단 | 바로가기 |
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| 바로가기 |
금융결제원 내계좌한눈에 | 바로가기 |
본인부담상한제란?
본인부담상한제는 의료비 부담이 큰 사람들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. 환자가 부담한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이 상한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고, 초과 금액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2021년 상한제 지급 내용을 보면 166만명이 받았는데, 그 중 1~3분위인 저소득층이 113만명으로 67.9%를 차지하고 있어, 저소득층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적용 대상
건강보험료를 성실하게 납부하고 있는 가입자와 피부양자라면 본인부담상한제 대상입니다. 본인부담상한제 혜택은 납부하고 있는 건강보험료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본인 부담상한액 기준
본인 부담상한액 기준은 매년 인상되고 있기 때문에 꼭 해당하는 연도의 기준을 참고해야 합니다.
연평균 보험료 분위가 1분위에 가까울수록 저소득층에 해당하며, 반대로 10분위에 가까울수록 고소득층에 속합니다.
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스팸 문자
최근 개인 e-mail과 문자를 통해 “건강보험료 환급금 확인 안내” 링크를 확인하라는 사기 수법이 성행하고 있습니다.
건강보험공단은 절대로 문자메시지(인터넷 URL 포함), 개인 메일로 환급금 신청을 안내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시면 안 됩니다.
지금까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 2022년 기준 소멸시효 3년이 지나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한 돈이 무려 864억 원이라고 합니다. 결국 해당 금액은 건강보험공단에서 자체 수입 처리하여 질타받긴 했는데요.
소멸시효가 명확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했습니다. 눈먼 환급금이 소멸하기 전에 지금 당장 찾아가시기를 바랍니다.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공유도 잊지 말아 주세요.